구약 성서의 613 계명 목록 (상)

2009.12.21 22:27

윤봉원 조회 수:1007 추천:76

101. 대제사장이 입을 옷은 목을 위하여 파 놓은 구멍의 둘레를 찢어지지 않도록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출 28:32).
102. 제사장만이 속죄의 제물을 먹을 수 있다(출 29:33).
103. 제사장은 아침 저녁으로 분향단 위에 향을 피워야 한다(출 30:7-8).
104. 분향단 위에다가는 향기로운 향을 피우는 일 이외에는 어느 것도 해서는 안된다(출 30:9).
105. 회막 세금에 관한 규정(출 30:13)
106. 제사장은 회막에 들어가기 전에 손발을 반드시 물로 씻어야 한다(출 30:19-20).
107. 성별하는 기름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규정(출 30:25)
108. 성별하는 기? ㎱?아무에게나 부어서는 안된다(출 30:32a).
109. 성별하는 기름을 만드는 방법으로 똑같은 기름을 만들어서 다른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된다(출 30:32b).
110. 사사로이 쓰려고 유향을 만드는 방법과 똑같은 방법으로 향품을 만들어서는 안된다(제 110 계명; 출 30:37).
111. 우상숭배자들과 언약을 맺어서 그들이 우상에게 바친 제물들을 먹게 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출 34:15).
112. 안식일에는 밭갈이하는 철이나 추수하는 철에도 일해서는 안된다(출 34:21).
113. "새끼 염소를 그 어미의 젖으로 삶아서는 안된다"(출 34:26).
114. 안식일에는 불을 피워서는 안된다(출 35:3).
레위기 (115 - 361)
115. 번제(burnt offering 또는 holocaust)에 대한 규례(레 1장)
116. 곡식제물에 대한 규정(레 2장)
117. 곡식제물에는 누룩이나 꿀이 들어 있어서는 안된다(레 2:11).
118. 모든 곡식제물에는 소금이 빠져서는 안된다(레 2:13a).
119. 어떤 제물에도 소금을 빠뜨려서는 안된다(레 2:13b).
120. 이스라엘 온 회중이 산헤드린의 잘못된 결정으로 죄를 범하게 되면 속죄 제물을 드려야 한다(레 4:13).
121. 개인이 실수를 한 경우에도 속죄제물을 바쳐야 한다(레 4:27-28).
122. 증인이 자기가 본 것이나 알고 있는 것을 사실대로 증언하지 않고 은닉하면 거기에 책임을 져야 한다(레 5:1).
123. 속죄제물을 바쳐야 하는 경우
124. 새를 속죄제물로 가져오면 그것은 다른 짐승을 제물로 가져온 경우와는 달리, 제물을 바친 사람이 잡지 않고 제사장이 직접 그것의 목을 비틀어서 잡아야 하는데, 이 때 목이 떨어지게 해서는 안된다(레 5:8).
125. 가난하여 속죄제물로 짐승이나 새를 바칠 수 없는 경우에는 밀가루를 바칠 수 있으나, 이 때, 제사장은 거기에 기름을 섞어서는 안된다(레 5:11).
126. 또한 거기에 향을 얹어서도 안된다(레 5:11).
127. 제물을 바치다가 실수하여 죄를 범하면 바친 것의 20 %에 해당하는 벌금을 지불해야 한다(레 5:15-16).
128. 부정적인 계명(금지 계명)을 실수로 어긴 경우에도 속건제물을 바쳐야 한다(레 5:17-18).
129. 다른 사람의 물건을 불의하게 취한 경우에 관한 규정(레 6:1-5).
130. 남의 물건을 불의한 방법으로 취한 자는 모두 물어내야 한다(레 6:5).
131. 제단의 재에 대한 규례(레 6:10-11)
132. 제단의 불은 항상 피워져 있어야 한다(레 6:12).
133. 제단의 불을 꺼뜨려서는 안된다(레 6:12).
134. 곡식제물을 드리고 난 나머지는 제사장이 먹어야 한다(레 6:16).
135. 제사장은 곡식제물에 누룩을 넣고 구워서는 안된다(레 6:17).
136. 대제사장도 다른 사람들처럼 곡식제물로 밀가루를 드려야 하는데, 그는 매일마다 그래야 했으며, 그것으로 아침 저녁 빵을 구워 바쳐야 한다(레 6:20 이하).
137. 제사장이 드리는 곡식제물은 아무도 먹지 못한다. 그것은 다 태워 버려야 한다(레 6:23).
138. 속죄제물은 번제물을 드리는 장소에서 드려야 한다(레 6:25 이하).
139. 성소에서 속죄해 주려고 제물의 피를 회막 안으로 가져왔을 때에는, 어떤 속죄제물도 먹어서는 안된다(레6:30).
140. 속건제물을 드릴 때의 규례(레 7:1 이하)
141. 감사의 뜻으로 화목제물을 바치는 경우에는 빵을 곁들여 바쳐야 한다(레 7:11-12).
142. 화목제물로 드린 것 가운데 감사제물로 바친 고기는 그 날로 먹어야 하며 다음 날까지 남겨서는 안된다(레 7:15).
143. 화목제물로 드린 것 가운데 서원제물이나 자원제물로 바친 고기는 이틀째 되는 날까지 다 먹어야 하며, 사흘째 되는 날까지 그 희생제물이 남아 있으면, 불살라야 한다(레 7:17).
144. 어떤 종류의 것이든(감사제물, 서원제물, 자원제물) 화목제물로 드린 고기 중 사흘째 되는 날까지 남은 것을 먹어서는 안된다(레 7:18).
145. 어떤 종류의 화목제물이든 불결한 것에 닿은 고기는 먹지 말아야 한다(레 7:19a),
146. 그리고 그것은 불에 태워야 한다(레 7:19b).
147. 동물의 기름기는 먹지 못한다(레 7:23).
148. 어떤 피든지 먹어서는 안된다(레 7:26).
149. 제사장은 머리를 풀어서는 안된다(레 10:6),
* 윤봉원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9-12-21 22: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구약 성서의 613 계명 목록 (상) 윤봉원 2009.12.21 1007
141 구약 성서의 613 계명 목록 (중) 윤봉원 2009.12.21 989
140 구약 성서의 613 계명 목록 (하) 윤봉원 2009.12.21 1018
139 아브라함의 믿음 윤봉원 2009.12.11 1377
138 충성 윤봉원 2009.11.24 1004
137 생명의 면류관 윤봉원 2009.11.24 1096
136 헌금의 의의 윤봉원 2009.11.15 1011
135 영감 윤봉원 2009.11.14 1006
134 믿음과 우상 윤봉원 2009.11.13 984
133 부활이란 무엇인가 윤봉원 2009.11.12 957
132 기독자의 축복 윤봉원 2009.11.11 930
131 외식, 타락, 속화의 뜻 윤봉원 2009.11.11 1292
130 모든 일을 행한 후에 서기 위함이라' 윤봉원 2009.10.17 2040
129 미움 윤봉원 2009.10.06 944
128 산돌 윤봉원 2009.09.30 1421
127 껍데기와 알맹이 윤봉원 2009.09.24 989
126 사랑과 미움 윤봉원 2009.09.24 1044
125 하나님 나라와 사회참여 - 김세윤 교수 윤봉원 2009.09.12 1738
124 기독교란 무엇인가-한경직 목사 윤봉원 2009.09.12 988
123 말씀은 중매쟁이 윤봉원 2009.07.16 96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