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이 존재하는 이유
구춘서 교수, 최근 한국의 이단 발생과 동향 소개
구춘서 교수(한일장신대 교수, 이단사이비대책위 전문위원)는 '최근 한국의 이단 발생과 동향'에 대해 발제하며, 이단이 존재하는 이유로 한국교회의 현실을 문제로 삼았다.
구 교수는 "이단의 교주들은 하나같이 기성교회(한국교회)에 대해 비판적이다"면서 "교주들은 기성교회의 비판을 통해 자신들 단체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고 기성교회 교인들을 추종자로 바꾼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주들은 기성교회의 약점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공격한다"며 교회의 △재정의 투명성 △성경 해석 △전도의 무능 △방언 및 치유와 같은 성령의 능력 부재 △종말론의 실종 △귀신론의 실종 등이 이단이 주로 공격하는 내용이라고 소개했다.
구 교수는 "이단은 기성교회를 무능력하고 종교적 열의도 없으며 교권 싸움이나 하는 종교 단체로 전락한 것처럼 평가한다"며 이단의 전략을 설명했다. 이단의 대표적인 전략은 기성교회의 비판이다. 비판하는 이유는 기성교회를 비판해야 기성교회 교인들을 빼앗아 올 수 있기 때문이다. 구 교수는 "이단의 가장 중요한 포교 대상은 기성교회 교인이다"면서 "이단의 가르침은 은연중에 기성교회를 비판하며 자신들의 교리를 주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했다. 기성교회에 대한 반감을 일으키고 자신들에게 호감을 느끼게 하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단은 기성교회를 비판해야 집단의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다. 구 교수는 "이단은 기성교회와는 달리 아직 자신들의 생존 자체가 중요한 가치가 된다"며 "이들은 서로 결속하고 떨어지지 않도록 대단히 유의하여 자신들의 추종자들을 관리한다"고 강조했다. 즉 이단들이 극심하게 포교를 강조하는 것도 바로 생존 때문이라는 것. 이단은 자신들의 추종자들을 결속시키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기성교회를 맹렬히 비난한다.
구 교수는 사회적 불안도 이단이 존재하는 이유로 내세웠다.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한국전쟁을 지나는 동안 많은 이단이 생겨났다고 한다. 구 교수는 "사회의 큰 격변기에 불안한 마음을 교묘한 가르침으로 꼬이며 이단들이 발호한 것이다"고 분석했다. 또 최근 경제위기로 구조조정이 일상화되고 빈익빈 부익부의 경제 제도가 움직일 수 없는 사회 규범으로 자리 잡자, 이 세상에서의 성공이나 치유는 큰 매력으로 다가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종말이 이루어진 후 저 세상에서의 높은 지위는 사람들에게 대단한 관심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단에 대처하는 자세
구 교수는 기성교회가 교인에게 신학적인 사고를 가르쳐야 한다고 했다. 신학은 이단들의 가르침에 대처할 뿐 아니라 교회가 건강한 믿음을 가르치려는 필요에 따라 태어난 것이다. 일차적으로 교회는 사람들에게 성서를 충분히 이해시키고 교육해야 한다. 성서에 무지하게 되면 이들의 주장에 쉽게 현혹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교인들이 교회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권유했다.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 그리스도의 몸, 성령의 피조물 등 다양하게 정리할 수 있으나 무엇보다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이다. 또한 교회는 교인들 친교의 장이기도 하고, 어린이뿐 아니라 성인도 교육 기회를 제공 받는다. 교인이 교회에서 적극적으로 활동을 하게 될 때 이단의 유혹에 빠질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구 교수는 목회자들에게 "목회자는 교인을 놓고 이단들과 경쟁하는 시대에 돌입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제는 이단이 교인들을 두고 기성교회 목회자들과 경쟁하는 경쟁자로 등장했다는 것이다. 또한 교회는 교인들이 갖고 있는 건전한 종교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출처: http://www.newsnjo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626
* 윤봉원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9-05-27 15:52)